분류 전체보기(7)
-
물류시설과 자동화, 그리고 풀필먼트 시스템
코비드19를 거치면서 발견한 재미난 사실, 그리고 관측 가능한 한가지 변화는 바로 집집마다 대문 앞에 놓여진 쿠팡 가방이었다. 오늘은 물류시설과 자동화 추세 그리고 고려해야 할 시공 단계의 (얕은) 주안점 및 풀필먼트 시스템을 다뤄보고자 한다. 우선 물류센터 시장의 업황에 대해 간략한 브리핑을 해보자면, 펜데믹을 거치며 이커머스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였다. 이는 특히 저금리 기조와 맞물려 2020년부터 공급 계획이 (우후죽순..) 이뤄지게 되었는데, 특히 2021년부터 확정공급 물량의 증대로, 조금씩 공급 과잉에 대한 공포가 제시되었다. 현재까지, 이는 2022년 약 115만평, 2023년 잠정적 약 196만평 등 엄청난 공급으로 이어졌고, 관련 임대료, 자산가치 등 관련 리스크가 증대하게 된다. 현..
2023.11.21 -
시니어 하우징, 헬스케어 리츠 그리고 한국
노인 인구가 늘고 있다. 만 23세의 필자 입장에서 연금개혁이다, 학생이 줄어든다 등 수많은 이슈 거리를 접하자면 상당히 우려가 큰 것도 사실이다. 졸업한 고교가 소재한 시골(국내유학이라 읽고, 깡촌유배라 쓴다.... 25년 삶 중 약간 잘못된 선택..)의 또 다른 초등학교의 폐교와, 노인시설로의 용도 전환 소식을 들었다. 이렇게 극단적인(?) 국가가 있나 싶지만, 금융업 재직자이자 관련 전공자의 입장에서는 이를 자본 논리의 시각에서, 그리고 기회의 방향타로 풀어낼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주제와 관련하여, 예컨대 베이비 부머(Baby boomer)세대나 단카이 (団塊の世代) 세대 은퇴와 같이 기존의 선진국들은 이미 유사한 사례를 경험하고 있는 듯하다. 그중 미국의 사례를 가져와 보았다. 미국의 경우..
2023.11.09 -
코리빙 하우스 : Innovation OR Transformation ?
작년 가을 정도였나, 편입 공부(...)와 전공 21학점 그리고 혹시 모를 인턴 준비에 정말 정신없이 보내던 와중, 한 VC 채널에서 배포한 프롭테크 스타트업 정리자료를 본 적이 있었다. 디스코, 알스퀘어(이제는 스타트업이라 보기는 힘든) 등 여러 스타트업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특히 관심이 갔던 기업들이 존재했다. 홈즈, MGRV, 로컬스티치 등 "코리빙 하우스" 비즈니스 모델을 들고 나온 이들이 그것이었다. 개인적으로 위워크, 패스트파이브, 스파크플러스 등 코워킹-공유 오피스 사업에 대해 기대가 컸었다. 특히 위워크의 경우 소프트뱅크의 콜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상당히 큰 감명을 받았고, 인사이트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리포트도 개인적으로 쓴 기억이 있다.(필자는 위워크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
2023.10.03 -
북미 상업용 부동산 시장, 새로운 글로벌 금융위기의 뇌관이자 미래 예측의 방향타?
사례가 반복되면 통계적 근거를 가진다? 전체 대출 잔액 약 5조 6000억 달러, 2025년 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상환금액은 약 1조 5000억 달러. 금융에 대해 잘 모르는 이들도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가 RMBS, MBS 에 기초했다는 것은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했던가. 포스트 팬데믹 시대를 바라보는 지금, 세간의 집중은 미국의 상업용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고 있다. 어마어마한 규모만을 확인해도 위기의 현실화가 가져다 줄 엄청난 여파를 예측할 수 있다. "Commercial Real Estate will CRASH even harder than during the (past) Great Financial Crisis"2023년 8월자 Morgan Stanley 리서치 리포트의 ..
2023.09.20 -
외국의 REITs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바라본 한국 REITs의 제도적 발전사조 및 개선점 제시
한국 부동산 시장의 유동화 금융 구조화, 단편적으로 한국 리츠 시장의 발전은 1997년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전 그리고 후를 생각해볼 수 있다. 외환위기 이전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폐쇄성" 단어 하나로 설명이 가능하다. -주택선분양제도의 시행으로 시공사의 도급비 및 시행사, 투자자의 수익 환원의 조기 안정을 도모했다. -외국인 자본의 국내 부동산 자산 취득 금지 -부동산 금융 및 부동산 투자를 여신금지업종으로 지정하여, 부동산 자산을 이용한 수익 창출에 레버리지 효과를 제한했다. -따라서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지극히 기업금융 중심의 부동산 자산 시장에 불과했다. 반면,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부동산 시장은 "개방성"을 적극적으로 표방하며 부동산 시장 구조 및 금융의 선진화를 위한 변천을 거듭한다. 허나..
2022.02.19 -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개발형 공급 방식과 Value-Add 공급 방식 간 비교를 통한 주안점 제안
근래 한국의 부동산 자산 시장은 여러 내외적 요인들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으면서 변동하고 있다. 특히 서울-수도권 지역 과밀화로 인해 충분한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개발 토지의 부재 현상, 신규 개발형 부동산 공급에 대한 리스크 과중, Semi-Passive 운용에 대한 투자심리 선호도 증가 등의 복합적인 이유들로 인하여 부동산 자산의 밀집도가 높던 도심지 내에서의 Value-Add 전략이 조금씩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Value-Add 전략에 대한 시장 공급자 및 투자자, 소비자의 관심도 증가에는 앞서 언급된 이유들과 더불어 여러 원인이 존재하는데 이를 목차별로 나누어, 그리고 장단점 별로 구분하여 조사한 바 실제 사례 등을 더해 전달하고자 한다. 1. 코비드-19의 확산으로 인하여 시장 내 부동산..
2022.02.17